1. 기계설계기사란?
기계설계기사는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기계제도 분야에서도 컴퓨터에 의한 설계가 일반화 되고 있다. 특히 관련업계에서는 생산성 향상, 비용절감, 품질개선 및 신뢰도 향상을 목적으로 컴퓨터에 의한 설계(CAD) 및 생산(CAM) 시스템이 광범위하게 이용되면서 산업체 자체의 생산제품에 적합한 패키지의 설계, 수정, 보완 및 제품해석을 담당할 전문고급 기술인력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계설계분야에 필요한 전문 고급 기술인력을 양성하고자 기계공정 설계와 치공구설계를 통합하여 제정하게 되었습니다.
기계설계기사는 국가기술자격증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입니다. 기계설계기사의 수행직무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요구사항에 적합한 기계 시스템 및 관련 부품을 설계하고 시작품을 제작하여 검증하고 설계도서를 작성하여 승인을 받아 제작용 도면을 CA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KS관련 규격에 맞게 부품도를 작성, 제작을 위한 치수, 공차, 노트 등을 기입하여 수정, 출도 합니다. 또한 3차원 조립도, 분해도 등을 이용하여 사용설명서 작성, 생산관리 등의 관리업무 등도 수행합니다.
2. 기계설계기사 시험정보
1) 응시자격
기계설계기사 시험은 응시자격에 제한이 있습니다.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졸업자 | 비관련학과 졸업자 | 순수 경력자 | 비고 |
* 동일(유사)분야 기사 * 산업기사 취득후 실무경력이 1년 이상인 자 * 기능사 취득 후 실무경력이 3년 이상인 자 * 동일 종목의 외국자격 취득자 |
* 대졸(졸업예정자) * 3년제 전문대졸업 후 실무경력 1년 이상인 자 *2년제 전문대졸업 후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자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 후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자 |
폐지 | *4년(동일, 유사 분야) | *비관련학과 관련 응시자격: 2013년1월1일부터 폐지 |
*관련학과: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기계설계공학, 기계공학, 메카트로닉스공학, 자동차공학 등
*동일직무분야: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재료, 화학, 전기 · 전자, 정보통신 중 방송무선, 통신, 안전관리, 환경 ·에너지
2) 시험과목 및 시험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
필기시험 | 1. 재료역학 2. 기계제작법 3.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4. 기구학 및 CAD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시험 | 기계설계실무 | 작업형(7시간 30분 정도) |
3) 합격기준
- 필기시험: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시 합격
- 실기시험: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득점시 합격
4) 필기시험 면제: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5) 합격률
2021년까지 최근 5개년도의 합격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자 수 | 합격자 수 | 합격률(%) | 응시자 수 | 합격자 수 | 합격률(%) | |
2021 | 210 | 60 | 28.6% | 39 | 5 | 12.8 |
2020 | 157 | 27 | 17.2 | 30 | 18 | 60 |
2019 | 148 | 24 | 16.2 | 19 | 7 | 36.8 |
2018 | 138 | 35 | 25.4 | 28 | 13 | 46.4 |
2017 | 150 | 35 | 23.3 | 30 | 10 | 33.3 |
6) 시험일정
구분 | 필기원서접수 | 필기시험 | 필기합격발표 | 실기원서접수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2023년 정기기사 2회 |
2023.04.17 ~ 2023.04.20 |
2023.05.13 ~ 2023.06.04 |
2023.06.14 | 2023.06.27 ~ 2023.06.30 |
2023.07.22 ~ 2023.08.06 |
2023.09.01 |
3. 취업활용정보
1) 취업
모든 산업의 기초인 기계공학분야는 폭넓은 영역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주로 기계분야와 조선분야, 항공분야, 전기분야, 전자분야, 건설분야, 환경분야, 플랜트, 엔지니어링분야 등으로 취업합니다.
또한 자동차, 선박,반도체,화학,항공,건설,의공학 산업 등에서 부품개발 및 품질관리직으로 진출할 수 있으며, CAD/CAM 시스템 컨설팅 회사, 자동차 관련 용품 설계업체나 금형설계 및 제조업체 기타 산업기계설계 생산업체 등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공기업으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기술직 공무원 등으로 진출할 수 있으며, 정부출연연구소나 전문직(변리사, 전문 컨설턴트)등으로도 진출이 가능합니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투자분석사 자격증 취득방법(시험정보,합격률,시험일정) (0) | 2023.02.28 |
---|---|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취득방법(응시자격,일정,합격률) (0) | 2023.02.27 |
ADsP, ADP 자격증 취득방법(시험정보,일정) (0) | 2023.02.23 |
전기공사기사 자격증 취득방법(시험일정,합격률,활용정보) (0) | 2023.02.22 |
CFP(국제공인재무설계사) 자격증 취득방법(시험정보) (0) | 2023.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