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기사 자격증 취득방법(시험일정,합격률,활용정보)
1. 전기공사기사란?
전기공사기사는 전력시설물을 안전하게 시공하고 검사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할 목적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전기공사기사의 수행직무로는 공사비의 적산, 공사공정계획의 수립, 시공과정에서 전기의 적정여부 관리 등 주로 기술적인 직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공사현장 대리인으로서 시공자를 대리하여 현장관리를 하는 동시에 발주자에 대해서는 시공자를 대신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전기기사와 전기공사기사를 같은 자격증이라 착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시험 5과목 중에서 4과목이 동일하여 공ㅋ통과목에 대하여 필기시험 면제가 되지만, 각각의 수행업무가 다르기에 차이가 있습니다.
전기기사 | 전기공사기사 |
건물의 전기관리 및 건물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전기설비 및 설치, 전기감리, 전기설계가 가능하며, 전기안전관리자 및 공사업체 현장대리인, 감리, 설계사 등으로 취업 할 수 있음 | 건물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전기설비 및 설비 및 설치, 전기감리, 전기설계가 가능하며 공사업체의 현장대리인으로만 일할 수 있음. |
2. 전기공사기사 자격시험 정보
1) 응시자격
전기공사기사는 국가기술자격증이기에 응시에 제한이 있으니 아래 표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전공자 | 순수 경력자 |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산업기사 취득 후 실무경력 1년 이상인 자 *기능사 취득 후 실무경력 3년 이상인 자 |
* 대졸(졸업예정자) *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3년제 전문대 졸업 후 실무경력 1년 이상인 자 * 2년제 전문대 졸업 후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자 *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 후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자 |
동일, 유사 분야의 실무경력 4년 이상인 자 |
* 관련학과로는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전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전기제어공학과,전기정보시스템공학과 등이 있습니다.
* 동일직무분야에는 경영 회계 사무 중 생산관리, 문화 예술 디자인 방송 중 방송, 건설, 기계, 재료, 정보통신, 안전관리, 환경 에너지 분야가 있습니다.
2) 시험과목 및 시험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
필기시험 | 1.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2. 전력공학 3. 전기기기 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5. 전기설비기술기준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시험시간: 2시간 30분) |
실기시험 | 전기설비 견적 및 시공 | 필답형(2시간 30분) |
3) 합격기준
* 필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시
* 실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4) 필기시험 면제: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합니다.
5) 합격률
최근 5개년도의 합격률(2021년도 까지)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자 수 | 합격자 수 | 합격률(%) | 응시자 수 | 합격자 수 | 합격률(%) | |
2021 | 5,151 | 1,544 | 30 | 1,864 | 712 | 38.2 |
2020 | 2,918 | 1,124 | 38.5 | 1,928 | 544 | 28.2 |
2019 | 5,423 | 1,529 | 28.2 | 2,421 | 436 | 18 |
2018 | 5,139 | 1,480 | 28.8 | 2,349 | 558 | 23.8 |
2017 | 5,303 | 1,689 | 31.8 | 2,096 | 281 | 13.4 |
6) 시험일정
구분 | 필기원서 접수 |
필기시험 | 필기합격 발표 |
실기원서 접수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발표 |
2023년 정기기사 1회 | 2023.01.10 ~ 2023.01.19 |
2023.02.13 ~ 2023.03.15 |
2023.03.21 | 2023.03.28 ~ 2023.03.31 |
2023.04.22 ~ 2023.05.07 |
2023.06.09 |
2023년 정기기사 2회 | 2023.04.17~ 2023.04.20 |
2023.05.13 ~ 2023.06.04 |
2023.06.14 | 2023.06.27~ 2023.06.30 |
2023.07.22 ~ 2023.08.06 |
2023.09.01 |
2023년 정기기사 4회 | 2023.08.07~ 2023.08.10 |
2023.09.02 ~ 2023.09.17 |
2023.09.22 | 2023.10.10 ~ 2023.10.13 |
2023.11.04 ~ 2023.11.17 |
2023.12.13 |
3. 전기공사기사 자격증 활용정보
전기공사기사 자격 취득 후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설비 검사자 자격이 주어집니다.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공사기술자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전기공사업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력기술관리법에 의한 전력설계업 및 감리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과 항로표지법에 의한 항로표지 장비 및 용품 성능 검사대행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전기공사기사 자격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취업면에서는 전기가 사용되는 모든 전기공사 시공업체(발전소, 변전소, 감리회사, 조명공사업체, 변압기, 발전기, 전동기 수리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설비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및 전기안전관리업체 등에도 취업할 수 있으며 전기직 공무원으로 채용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