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자산관리사(은행 FP) 자격증 취득방법(시험정보,합격률,활용사례)

Brandnew_Mee 2023. 2. 19. 08:00
반응형

1. 자산관리사란?

자산관리사는 일반적으로 은행 FP(Financial Planner)라고 불리며 한국금융연수원에서 시행하는 자산관리사 시험에 합격한 자를 말하며 자산관리 기능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자산관리사는 금융기관 영업부서의 재테크팀 또는 PB(Private Banking) 팀에서 고객의 수입과 지출, 자산 및 부채현황, 가족상황 등 고객에 대한 각종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고객이 원하는 Life Plan 상의 재무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자산설계에 대한 상담과 실행을 지원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2. 자산관리사 시험정보 

1) 응시자격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2) 시험과목 및 시험방법

구분 시험과목 세부내용(배점) 배점 시간 비고
1부 자산관리 기본지식 재무설계의 의의 및 재무설계 프로세스(10)
경제동향분석 및 예측(15)
법률(15)
40 100분 객관식 5지 선다형
세무설계 소득세(4)
금융소득종합과세(8)
양도소득세(8)
상속, 증여세(16)
취득세 및 재산세, 종합부동산세(4)
40
보험 및 은퇴설계 보험설계(10)
은퇴설계(10)
20
2부 금융자산 투자설계 금융상품(16)
주식투자(15)
채권투자(15)
파생금융상품투자(12)
금융상품 투자설계 프로세스(12)
70 100분
비금융자산 투자설계 부동산 상담 사전 준비(9)
부동산 시장 및 정책 분석(9)
부동산 투자전략(9)
보유 부동산자산관리 전략(3)
30
합계 200점 200분

 

3) 자산관리사 자격시험 일부면제

- 1부 또는 2부 시험만 합격요건을 갖춘 경우는 부분합격자로 인정합니다. 

- 검정시험 결과 1부 시험 또는 2부 시험만을 합격한 경우, 부분합격일로부터 바로 다음에 연속되어 실시하는 3회의 시험까지(2년 이내) 1부합격자는 1부 시험을, 2부 합격자는 2부 시험을 면제합니다. 

 

4) 합격기준

시험과목별로 40점 미만(100점 만점 기준)이 없어야 하고, 1부 평균, 2부 평균이 각각 60점(100점 만점 기준) 이상이어야 합니다. 

- 1부 또는 2부 시험만 합격요건을 갖춘 경우는 부분합격자로 인정합니다. 

 

5) 합격률

최근 6년동안의 자산관리사 자격시험 합격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횟수 접수자 응시 취득 합격률
2021년 3 7,646 5,471 1,545 28.24%
2020년 2 4,964 3,594 1,215 33.81%
2019년 3 6,623 4,478 1,161 25.93%
2018년 3 6,082 4,114 1,139 27.69%
2017년 3 6,245 4,334 993 22.91%
2016년 3 7,994 5,541 1,589 28.68%

 

6) 시험일정

자산관리사 자격시험의 시험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접수일 시험일자 합격자 발표일
58회 2023.03.07~2023.03.14 2023.04.15 2023.04.28~
59회 2023.06.13~2023.06.20 2023.07.22 2023.08.04~
60회 2023.10.04~2023.10.11 2023.11.11 2023.11.24~

 

3. 자산관리사 자격시험 활용정보

자산관리사는 금융자격증으로 은행 FP라고도 불립니다. 자산설계와 법규 등 전반적인 은행업에 대한 이해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라 은행취업 시 우리은행 또는 신한은행 등의 서류심사에서 우대자격증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또한 학점은행제는 경영전공 경영전공 경영학 학사의 경우 20학점이 인정됩니다. 

자산관리사는 은행FP →AFPK →CFP 순으로 3가지 있습니다. 재무설계분야에서 최고자격증인 CFP(국제공인재무설계사)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AFPK자격증을 먼저 취득해야 합니다. 은행 FP 자격을 갖추면 AFPK 과목 중 모듈 2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FP자격증과 AFPK자격증 시험범위가 거의 흡사하기 때문에 같이 준비하시는 것이 효율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