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산업안전지도사 자격증 취득방법(시험정보, 활용)

by Brandnew_Mee 2023. 2. 16.
반응형

 

1. 산업안전지도사란?

산업안전지도사는 기계안전, 전기안전, 화공안전, 건설안전 분야로 구성된 국가전문자격으로, 사업장 내의 근본적인 안전 및 보건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외부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든 제도로서, 1인기업의 자격으로 건설현장의 안전대행 업무를 수행합니다. 

산업안전지도사의 직무는 공정상의 안전에 관한 평가와 지도, 유해 및 위험의 방지대책에 관한 평가, 지도, 관련된 계획서 및 보고서의 작성, 그 밖에 산업안전에 관한 사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등의 직무를 수행합니다. 

 

2. 산업안전지도사 자격시험 정보

1) 응시자격

산업안전지도사는 별도의 응시제한이 없습니다. 그러나 결격사유가 있을시 시험에 합격했어도 관할 지방 고용노동관서에 지도사 등록이 제한됩니다. 

 

* 결격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52조의4 제3항)

-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집행이 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 이 법을 위한하여 벌금형을 선고받고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제52조의15에 따라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2) 시험과목 및 시험방법

구분 시험과목 시험방법
제1차 시험
(공통필수 3과목)
1. 산업안전보건법령
2. 산업안전일반
3. 기업진단, 지도
객관식 5지 택일형
(과목당 25문항)
제2차 시험
(전공필수 택1)
1. 기계안전공학
2. 전기안전공학
3. 화공안전공학
4. 건설안전공학
주관식 논술형 및 단답형
논술형 4문항
(3문항 작성, 필수2/택1)
및 단답형 5문항(전항 작성)
제3차 시험
(공통필수 면접)
- 전문지식과 응용능력
- 산업안전, 보건제도에 대한 이해 및 인식정도
- 상담, 지도 능력
면접시험
(수험자 1명당 20분 내외)

* 시험과 관련하여 법률 등을 적용하여 정답을 구하여야 하는 문제는 시험시행일 현재 시행 중인 법률 등을 적용하여 그 정답을 구해야 합니다. 

 

3) 합격기준

산업안전지도사 자격시험 합격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필기시험: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한 자(1차 및 2차)

- 면접시험: 면접시험은 평정요소별 평가하되, 10점 만점에 6점 이상 득점한 자

 

4) 시험일정

산업안전지도사 시험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접수기간 시험일정 합격자 발표기간
2023년 13회 1차 2023.02.20~2023.02.24
빈자리 추가접수 기간
2023.03.23~2023.03.24
2023.04.01 2023.05.03~
2023년 13회  2차 2023.05.22~2023.05.26
빈자리 추가접수 기간
2023.06.08~2023.06.09
2023.06.17 2023.07.26~
2023년 13회 3차 2023.05.22~2023.05.26
빈자리 추가접수 기간
2023.06.08~2023.06.09
2023.08.18~2023.08.19 2023.09.20~

 

3. 산업안전지도사 자격활용

산업안전지도사는 일종의 개인사업 면허 자격증이기에 1인기업의 자격으로서 건설현장에서 안전대행 업무를 수주, 활동할 수 있습니다. 산업안전지도사는 기계안전, 전기안전, 화공안전, 건설안전의 총 4개 종류가 있는데 각 종류별 수행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계안전은 기계를 활용하는 사업장에서 외부전문가인 지도사의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지도와 조언을 통해, 사업장 내에서 기존의 안전상의 문제점을 규명하여 개선하고 생산라인 관계자에게 생산현장의 생산방식이나 공법도입에 따른 안전대책수립에 도움을 줍니다.

 

2) 전기안전은 전기가 갖는 에너지에 의해서 인체에 대한 피해 또는 누전에 의한 화재, 분진이 존제하는 환경구역에서 일어나는 폭발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사업장 내에서 외부전문가인 지도사의 객관적이고도 전문적인 지도와 조언을 통해 사업장 내에서 기존의 안전상의 문제점을 규명하여 개선하고 생산라인 관계자에게 생산현장의 생산방식이나 공법도입에 따른 안전대책수립에 도움을 줍니다. 

 

3) 화공안전은 산업현장에서 화학물질을 취급, 제조에 따른 재해 위험성을 사전 예측하고, 독성노출에 대한 보호를 위한 물질의 성상과 특징을 이해하여 화학물질로 인한 산업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전문가인 지도사의 객관적이고도 전문적인 지도 조언을 통하여 기존의 안전상의 문제점을 규명하여 개선하고 대책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4) 건설안전은 건설사업장에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외부전문가인 지도사의 객관적이고도 전문적인 지도 조언을 통하여 기존의 안전상의 문제점을 규명하여 개선하고 대책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취득 후에는 고용노동부의 지정을 받은 재해 예방 전문 지도기관을 설립하여 건설현장의 재해예방기술지도 및 안전대행 업무를 수행합니다. 

 

댓글